본문 바로가기
교육

수업 대화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질문 방법

by 독보적인 백발광녀 2023. 2. 2.
반응형

수업 대화에서 활용할 수 있는 좋은 질문 방법

수업 대화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질문 방법

수업에서의 질문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여 학생들의 추리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. 또한 풍부한 지식을 유도하는 질문은 학생들의 훌륭한 사고를 끌어낼 수 있다. 이처럼 적절한 질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(나승일, 2004). 좋은 질문을 통해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더 큰 관심을 가지며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. 또한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교수에게 끊임없는 피드백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수업을 진행할 때 질문이 필요한 시점에 좋은 질문을 미리 계획하고 주의 깊게 마련해두어야 한다.

■ 질문하는 요령

· 한 번에 한 가지의 질문을 한다.

· 쉬운 질문에서 어려운 질문의 순서로 합니다.

· 특정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논리적 계열을 따라서 질문합니다.

· 전체 질문 → 여유 → 지명 질문의 순서로 질문합니다.

- 질문을 먼저 한 다음 → 대답할 사람을 찾고 → 대답할 사람이 없는 경우, 적절한 방법으로 지명합니다.

- 먼저 사람을 지명하고 질문을 던지면 해당 학생만 열심히 답을 고민하고 나머지는 방관자가 되기 쉽습니다.

따라서 모두 수업에 참여토록 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먼저 던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· 질문을 한 후, 학생들이 적절한 답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줍니다.

· 질문, 학습활동의 목적과 교과내용의 난이도에 맞게 질문의 속도와 기다리는 시간을 조정합니다.

· 질문을 하고 잠시 기다린 후 특정 학생에게 대답해 보라고 요청합니다.

· 강의실의 모든 학생들에게 골고루 질문합니다.

 위 내용을 통해 교수자가 질문을 잘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, 질문을 한 다음 학습자의 대답을 반응하는 교수자 대응방법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. 아래의 내용을 통해 확인 해보자.

■ 질문을 받는 방법

· 질문이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즉시 대답하지 않는다.

· 질문에 교수 혼자 답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.

· 질문에 대한 답을 다른 학생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.

· 질문을 잊거나 오해하지 않도록 방심하지 않는다.

· 학생의 질문이 애매하거나 장황할 때는 요약, 정리하여 동의를 얻는다.

· 질문에 대해 칭찬하고 항상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.

 

■ 학습자의 대답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방법

· 학습자의 대답을 주의 깊게 듣는다.

· 학습자들의 대답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여준다.

· 잘못된 대답에 대해서는 상대방이 불편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교정해 준다.

■ 학습자들의 대답에 대한 대응방법

· 정확한 대답일 때 : ‘아주 잘했어요, 정확해요’와 같은 인정이나 칭찬의 반응을 보이며 확답을 다시 해준다. 확답을 해주어야 학습자들이 연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고 그 대답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. 정답을 말하였으나 길게 늘여 장황하게 답한 경우에는 직접 정리해 줄 수도 있고, 다른 학생에게 그 대답 중에 요점을 설명하고 보충해 보도록 요청할 수 있다.

· 부분적으로 정확한 대답일 때 : 대답이 부분적으로 정확할 때는 정확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주고, 부정확한 부분은 고치도록 유도한다. 그리고 더 보충할 수 있도록 다른 학습자에게 추가 질문을 한다.

· 부정확한 대답 : 질문이 완전히 틀릴 때에 교수자는 무비판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좋다. 예를 들어 ‘좋은 대답이다. 그러나 중요한 것이 빠져 있는 것 같다’라고 말하고 다른 학습자에게 질문을 한다. 같은 학습자가 맞는 답을 하도록 유도하려면 그 학생에게 정확한 대답을 할 수 있는 다른 질문을 다시 던지도록 한다.

· 무응답 : 학습자가 질문을 알아듣지 못하거나 대답을 하지 못하면 질문을 쉬운 용어로 바꿔보는 것이 좋다. 여전히 반응이 없으면 그 개념을 다시 설명해 주도록 한다. 수시로 질문을 고치는 것은 좋은 질문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새삼 느끼게 해 준다.

 

출처 : 나승일(2004).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 가이드. 서울대학교 출판부.

반응형

댓글